뺀질이 정보

건강보험료 조회 방법 정리

DoubleJLee 2020. 8. 28. 17:14

건강보험료 조회를 어떻게 해볼 수 있는지 안내하는 이미지

건강보험료

안녕하세요. 오늘은 건강보험료 조회방법에 대해서 정리하는 포스팅을 해보려고 합니다. 정부는 코로나 19 사태로 인해 경제적으로 어려움에 처한 국민들을 위해 긴급재난 지원금이라는 대안을 마련하여 소득 하위 가구들에게 최대 100만 원가량의 금액을 지원키로 했습니다.


물론 긴금재난지원금을 받기 위해서는 소득 하위 70%여야 한다는 조건이 있고 이 70%에 해당하는 이들은 건강보험료의 납부액을 기준으로 지급될 것이라고 알려져 많은 분들이 건강보험료를 조회하고자 하십니다. 그런 의미에서 알아보는 건강보험료 조회 방법이니 참고해보시기 바랍니다.


건강보험료 조회

우선 건강보험료 조회를 하기 위해서는 군민건강보험공단 사이트를 이용하셔야 합니다. 해당 사이트에 접속하시면 파란색 배경의 카테고리가 있고 그 하부에 하위 카테고리가 있는 걸 살펴보실 수 있을 겁니다.


이중 가운데에 위치한 파란색 배경의 ‘보험료’라고 씌여져 있는 카테고리 아래로 세 번째에 ‘직장보험료 개인별 조회’를 찾으시면 됩니다. 해당 카테고리에서 간단한 본인인증을 통해 자신의 건강보험료를 조회해 보실 수 있습니다. 당연하게도 준비물로 공인인증서가 필수입니다.

 


직장보험료 개인별 조회

‘직장보험료 개인별 조회’라는 카테고리를 클릭하시면 공인인증서를 통한 본인인증을 위해 개인으로 진행할지 사업자로 진행할지 선택하고 자신의 주민번호 혹은 사업자번호를 입력한 후에 공인인증서 인증을 실시하실 수 있습니다. 본인 인증이 완료되면 이제부터 자신의 건강보험료를 상세히 조회해 볼 수 있는 창이 나올 겁니다.


상단에 ‘직장보험료 개인별 조회’라고 작성 되어 있고, 그 바로 밑에서 건강보험료의 추산 방법과 각 연도의 건강보험료 %가 안내되어 있을 겁니다. 해당 창이 나타난다면 맞게 찾아온 것입니다. 하단에 위치한 연도 설정란을 자신이 원하는 연도에 맞추고 우측 하단에 조회하기를 누르시면 건강보험료를 상세하게 조회해 보실 수 있습니다.


건강보험료 조회. 코로나19

코로나 19 사태로 인해서 경제적인 어려움을 겪고 있는 국민들을 위해 정부가 마련한 긴급재난지원금은 100만 원가량이라고 알려져 있지만 사실 각 가구의 가구원수에 따라 상이하게 지정되어 있으며 100만 원을 모두 수급하기 위해서는 4인의 가구원으로 구성된 가구여야만 합니다.


1인 가구의 경우에는 40만 원, 2인 가구는 60만 원 3인 가구의 경우에는 80만 원, 4인 이상의 가구의 경우에만 100만 원을 모두 수령할 수 있습니다.

 


건강보험료 조회. 소득 하위 70%

해당 가구들에 대한 지원금을 책정하기 위해 정부는 건강보험료 납부액을 기준으로 하고 있습니다. 즉 가구의 월 소득에 대한 건강보험료 기준 %를 통해 소득 구분을 하고자 하는 것입니다. 물론 여기서 건강보험료뿐만 아니라 지역가입자의 부담금도 고려되고 있습니다.


4인 가구를 기준으로 건강보험료만은 따질 때는 237,652원, 지역 부담금이 고려될 때는 254,909원, 만약 지역가입자와 건강보험료 납부 대상자가 모두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242,715원 이하일 경우에 4인가구 대상으로 100만 원의 긴급재난지원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건강보험료 조회. 지역가입자와 직장가입자

이러한 긴급재난지원금의 지급 기준에 대해서 지역가입자와 직장가입자로 나뉘어 지는데 즉 어떠한 직장에 소속되어서 월급을 받으며 생활하는 이를 직장가입자로, 자신의 개인사업을 영위하고 있는 이를 지역가입자로 구분하고 있습니다.


직장과 지역가입자의 혼합은 즉 가족 구성원이 1명은 직장에 다니며 1명은 자영업에 종사하고 있는 경우를 말합니다.

 


이상 건강보험료 조회 방법 정리에 대해서 알아봤는데요. 공감과 댓글, 공유까지도 큰 힘이 됩니다 한 번씩 부탁드립니다!

 

건강보험 자격득실확인서 발급 방법

건강보험 자격득실확인서 발급 오늘은 건강보험자격득실화확인서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아마 직장을 한 번이라도 가지신 분이라면 건강보험자격득실확인서에 대해서 들어 보셨을 것 같습

drnenge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