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뺀질이 정보

지방세완납증명서 인터넷발급 방법

지방세완납증명서 인터넷발급받는 방법을 안내하는 이미지

지방세완납증명서 인터넷발급

삶을 살아가다 보면 쉬운데 생각보다 하기 겁나거나 귀찮은 일들이 많은데요. 저는 유독 관공서에서 서류를 떼거나 제출하는 일이 있으면 바짝 긴장을 하게 되는 것 같더라고요. 뭔가 실수를 하면 안될 것 같은 느낌?ㅎㅎ


하지만 대한민국에 살면서 절대로 피할 수 없는 일이기도 하죠. 그래서 오늘은 보다 쉽고 간편하게 관련 서류를 뗄 수 있는 방법을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이번에는 지방세완납증명서 인터넷발급에 대해서 알려드릴 테니 지방세완납증명서가 필요하신 분들이라면 눈 크게 뜨고 따라와 주세요~


지방세완납증명서란

우선 지방세완납증명서가 무엇인지 먼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지방세오나납증명서는 우리가 내는 세금 중 하나인 지방세를 모두 납부하고 이것을 다 냈다고 확인하는 증명서입니다. 따라서 이는 은행 대출이나 부동상 거래 등에 필요한 서류 중 하나입니다.


또한 지방세는 지방자치단체에서 해당 관할 구역에 살고 이는 주민들에게 부과하는 세금으로 보시면 됩니다. 그래서 자신이 살고 있는 지역으로 지방세를 납부하게 됩니다. 지방세완납증명서에는 납세자 정보와 증명서 발급 목적 등의 정보가 기입되게 됩니다.

 


지방세완납증명서 인터넷발급 준비물

이제는 지방세완납증명서 인터넷발급을 위해 무엇을 준비해야하는지 알아보록 하겠습니다. 우선 지방세완납증명서는 서류의 형태이기 때문에 발급받아서 인쇄할 프린터기가 꼭 필요합니다. 연결이 잘 되는 인터넷과 프린터기는 필수입니다. 그리고 보통 온라인에서는 본인 신분증을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대신하여 공인인증서로 인증을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지방세완납증명서 인터넷발급을 할 때에도 공인인증서가 필요하니 꼭 미리 준비해두시는 게 좋습니다. 그리고 보통 지방세완납증명서를 방문하여 발급하게 될 경우에는 몇 백원이나 몇 천원의 수수료를 납부하게 되는데요. 지방세완납증명서 인터넷발급은 수수료가 무료입니다! 그래서 프린터기, 인터넷, 공인인증서가 있으면 방문하여 발급하는 것보다 인터넷 발급이 더 이득이니 꼬옥 알아 두시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지방세완납증명서 인터넷발급 방법

그렇다면 지방세완납증명서 인터넷발급 어디서 어떻게 할까요? 지방세완납증명서 인터넷발급은 ‘정부24’사이트에서 가능합니다. 검색창에 ‘정부24’를 검색하거나 ‘지방세완납증명서 인터넷발급’을 검색하여 해당된 링크를 타고 들어가시면 손쉽게 할 수 있습니다.

 

정부서비스 | 정부24

정부의 서비스, 민원, 정책·정보를 통합·제공하는 대한민국 정부 대표포털

www.gov.kr


홈페이지에 접속하셔서 공인인증서로 로그인 한 후에 ‘지방세 납세증명’을 클릭하시면 자신의 인적사항과 기본적인 정보를 입력할 수 있습니다. 입력 후 전자서명을 통해 인증을 하면 바로 문서를 출력할 수 있는 창이 떠서 인쇄가 가능합니다. 이렇게 출력까지 하면 집에서 돈 들이지 않고 손쉽게 지방세완납증명서 인터넷 발급을 받을 수 있습니다.

 


지방세완납증명서 발급. 오프라인

그런데 생각보다 지방세완납증명서 인터넷발급이 어려우신 분들도 계시죠ㅠㅠ 집에 컴퓨터나 프린터기가 없을 경우에는 발급이 어렵다는 것을 누구보다 잘 알고 있습니다. 그래서 어쩔수 없이 오프라인으로 지방세완납증명서를 발급받으러 가야하는 데요. 이 경우에는 자신의 주소지에 해당하는 시/군/구청, 동/읍/면사무소 등을 방문하면 발급이 가능합니다.


방문하여 발급할 경우에는 꼭 신분증을 지참하셔야 하고 수수료는 자치단체에 따라 상이할 수 있으니 넉넉히 몇 천원을 챙기셔서 방문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지방세완납증명서 인터넷발급이 어려우신 분들은 겁내지말고 방문하시면 직원분들이 친절하게 알려주시니 발급 잘 받으셔서 필요하신 곳에 잘 쓰시길 바라겠습니다!


이상 지방세완납증명서 인터넷발급 방법에 대해서 알아봤는데요. 공감과 댓글, 공유까지도 큰 힘이 됩니다 한번씩 부탁드립니다!

'뺀질이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1년 최저임금 안내  (0) 2020.11.12
2020 블랙프라이데이 날짜 유래  (0) 2020.11.12
다자녀 특별공급 총정리  (0) 2020.10.26
2020 미국대선 일정 총정리  (1) 2020.10.12
노란우산공제 장단점 총정리  (0) 2020.09.29